카테고리 없음

interface 단상.

윤보람 2007. 3. 7. 20:33

흠.. 부끄럽게도 업무를 하면서 interface 나 extends를 해서 class를 작성해본적이 없다.

그래서 java개념이 엄청 약하다. interface의 개념은 안다해도 , 도대체 어디에 활용할지,, 생각을 해봤는데도, 생각이 안난다. 오히려 extends와 더욱 헷갈릴뿐.

JDBC가 interface의 대표적인 예라는 것은 이론적으로 감은 왔지만,,실제 내가 코딩할땐 언제 사용야힐지,, 고민만 하다가 잤다.

나는, 보통 컴퓨터사용할때,  인터넷에 음원을 찾아서 듣는데(네이버 블로그 등)

익스, 파폭, 사파리 등 같은 브라우져임에도 불구하고,
음원이 플레이 되는 방식이 다르다.

같은사이트의 같은 노래를 들어도,

익스는 노래 듣는데 걱정해본적이 없고,
폭스는 플러그인 설치후 듣는데, 반복되어 나오고,
사파리는 한번 나오고 만다.

아마도 개발자가 다르다보니 그렇다 생각도 들고,  표준에 대해 아쉬웠다.

익스도, 파폭도, 사파리도 서로 다르게 구현해도 좋으니
같은 기능의 play()를 사용했으면 좋겠다 란 생각이 들면서

이때 인터페이스를 이럴 때 쓰면 좋겠구나란!! 생각이 들었다.

브라우져는 인터페이스가 되고, play는 각 브라우져에 맞게 구현.

-넉둘이---------------------------------------------------------------------------

sm을 하면, 굳이, interface, extends를 사용할 일이 없다.
다른사람의 소스를 보거나, 스스로 깨우치지 않는 한 알기 힘들다.
interface,extends의 개념도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잊어간다.

그래서 pojo에 관심이 가는 지도 모른다.

* 생각해봐야 할점.
유연성(interface), 확장성(extends)